* NFC
10cm 이하 거리에서 양방향 통신
13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 이용
결제시 일회성 고유번호를 생성하여 보안을 유지
스마트폰에는 대부분 NFC 기능이 탑재되어있다
유럽, 미국 점포에는 NFC 단말기가 보급되었지만 한국은 아직 소수 (보급률 10% 미만)
단말기 대당 15~20만원
전국에 깔려면 수천억원 비용 필요

* MST
마그네틱 방식
실물 카드를 리더기에 긁으면 자기장 변화 > 전류 발생
> 단말기가 정보 해독
> 카드번호, 유효기간 등 카드 고유정보 전달
삼성폰에는 MST 결제를 위한 코일이 탑재되어있다.
결제시 앱 내부에서 일회성 가상카드를 만들고
> 코일을 통해 해당정보를 자기장으로 보냄
> 단말기가 정보 해독
즉 폰 내부 코일로 플라스틱 카드를 긁는것과 같은 자기장 효과를 만들어낸다.
삼성폰 해외버전은 MST 코일이 없고 NFC기능만 지원한다.
만약 NFC 단말기가 전국에 보급된다면 국내폰에서도 MST 코일이 사라질 수 있다. 각종 온라인 페이가 대세가 되고 글로벌 표준을 따라간다고 보면 마그네틱 방식은 사양화될 가능성이 크다.
* 22년 현재
삼성페이 : NFC, MST 모두 가능
애플페이 : NFC만 지원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A52, A72 스펙 비교 (0) | 2021.03.18 |
---|---|
갤럭시 S21 공장초기화 방법 (0) | 2021.02.18 |
스마트폰 화면크기 선호도 추이 (1) | 2021.02.12 |
갤럭시 S21 기본형, 플러스, 울트라 스펙 비교 (0) | 2021.01.16 |
네이버페이 자산계좌 연결/해제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