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8일 기준금리 0.5% 

 

 

기준금리표

 

평균값 2.3~2.4%

 

역대 청약저축 금리

 

한은이 국내총생산 통계를 작성한 1953년 이후 연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딱 두번이다.

1980년 -1.6%  // 중동 오일쇼크

1998년 -5.1% // 외환위기

2009년 0.8%  // 리먼 금융위기

 

경제성장률은 실질GDP 성장률을 의미한다.

 

이번 코로나19가 오일쇼크 및 IMF 위기에 준하는 충격을 우리 경제에 주고 있다는 뜻이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1.4%)를 비롯해 건설투자(-2.2%)와 상품수출(-2.1%)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지난 2월 전망치 4.7%와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2분기 중 확진자수가 정점을 찍고 각국의 봉쇄조치도 점진적으로 완화할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0.2% 성장률을 전망했지만 확진자수가 정점을 찍는 시기가 3분기로 늦어지고 각국의 봉쇄조치 완화속도가 더디면 경제성장률이 -1.8%로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 전망 방식

속보치 (28일 이내) - 2개월 계산 + 1개월 예측 

잠정치 (70일 이내) - 3개월간 수치 입력

확정치 (1년 후) - 모든 수치를 넣고 정확한 값으로 기록

 

잠재 GDP = fully utilized GDP, 단 실업 3% 이하면 완전고용으로 간주함
3%는 최소필요 실업률, 즉 인력이 필요한 부문에 공급해줄 수 있는 buffer 개념이다.

사용률이 100%면 좋은게 아니다. 오히려 효율이 떨어짐

 

GDP 갭 = 실제GDP - 잠재GDP 
잠재GDP = GDP 구성변수들을 시계열 회귀분석해서 추정
선행지표 = 주가, 금리스프레드, 통화공급, PMI, 소비자예상지수 등
동행지표 = GDP 계산은 잠정치라도 늦게 나오기때문에 지금 당장을 보기위한 대체 지표

 

선행종합지수 (leading) = 구인구직비율, 건설수주액, 재고순환지표 등

동행종합지수 (coincident) = 광공업/서비스업생산, 소매판매액, 비농림어업취업자수, 건설기성액, 내수출하, 수입액  

후행종합지수 (lagging) = 생산자제품재고, 회사채유통수익률, 가계소비지출 등


국가 경상수지 = 저축 - 투자

국민소득 = 소비+투자+ 경상수지

    

경상수지 적자가 나쁘고 흑자가 좋은 것은 아니다. 신흥경제권에서는 투자를 많이 할수록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한다. 그러나 성숙한 경제구조에서 저축은 그대로인데, 국내투자가 위축되면 경상수지 흑자폭은 커지지만, 경제는 활력을 잃게 되고 불황이 올 수 있다. 이는 결국 중장기 성장잠재력을 잠식시킨다.

 

 

Posted by 영애니멀
,

2019년 12월 발표

조사기간 : 2019년 7월~11월

 

1.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장기금리는 하락하다가 반등

선진국,신흥국 모두 주가 상승

 

2. 국내경제

 

고용 서비스업 일부 개선

소비자 물가상승률 0% 내외

근원 물가상승률은 0.8% 내외

 

국고채금리는 8월 일본 수출규제, 미중 관세전쟁으로 사상최저수준까지 하락했다. (8월 19일 3년물 1.09%)

 

국고채금리는 8월 이후 반등상승

<> 원/달러 환율은 반대로 하락

  

가계대출은 완만한 둔화추세

은행대출은 주담대수요로 꾸준히 증가세

기업대출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증가

 

기준금리 1.75%

 →  7월 인하 1.50%

 10월 인하 1.25%

 

 

3. 향후전망

 

GDP 성장률은 올해 2.0% 에서 내년 2.3%로 완만한 회복 전망

 

통화·재정정책 확장적 운용 설비투자와 수출개선, 민간소비는 하반기부터 회복 예상, 그러나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다.

 

상방리스크

미·중 무역협상 타결 등에 따른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 완화,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기조 확산

하방리스크

반도체경기 회복 지연, 글로벌교역 부진, 홍콩 시위사태 격화, 중국 내수 부진 등

 

2019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상반기 0.6%, 하반기 0.2% 연간 0.4%이다.

내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 근원물가는 1% 상승으로 전망한다.

 

2019 물가상승 기여도가 높은 품목은 서비스,공업제품이고 물가인하 기여도가 높은 품목은 농축산물과 석유류였다.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