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미국 스탠퍼드대학 심리학과 대학원생이던 엘리자베스 뉴턴은 간단한 놀이 실험을 연구한 논문으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땄다. 뉴턴은 실험에 참가한 사람을 두 그룹으로 나눴다. 한쪽 그룹에는 노래를 고른 뒤 리듬에 맞춰 손으로 책상을 두드리게 했다. 다른 그룹에는 두드리는 것을 듣고 어떤 노래인지 맞혀보도록 했다. 노래는 유행가나 미국 국가처럼 누구나 아는 25곡 가운데 고를 수 있었다.
뉴턴은 두드리는 사람에게 상대방이 답을 맞힐 확률을 물었다. 대답은 50%였다. 하지만 실험에서 두드린 노래는 120곡이나 됐지만, 듣는 사람이 노래를 맞힌 비율은 2.5%에 그쳤다. 두드린 사람은 120곡 가운데 60곡 정도는 맞힐 거라고 기대했지만, 듣는 사람은 단 3곡밖에 맞히지 못했다.
왜 이렇게 기대치에 어긋난 결과가 나왔을까? 소녀시대 노래 (Gee)에 맞춰 책상을 두드려보라. 당신의 머릿속에는 익숙한 멜로디가 떠오를 것이다. 하지만 듣는 사람은 당신 머릿속에 맴도는 그 멜로디를 떠올리지 못한다. 그들에겐 그저 ‘탁탁’ 하는 소리가 들릴 뿐이다. 어쩌면 당신은 이런 생각을 할지 모른다. ‘이렇게 쉬운 노래를 못 맞히다니, 바보 같네!’
당연히 그들은 바보가 아니다. 두드리는 사람은 정보를 안다. ‘노래 제목’이 바로 정보다. 듣는 사람은 정보가 없다. 그런데도 두드리는 사람은 나처럼 다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들도 나처럼 ‘지지지~’ 하며 흥겨운 노래가 머릿속에 들린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대는 단조로운 소음만 들린다.
바로 ‘지식의 저주’(The Curse of Knowledge)다. 내가 아는 지식을 다른 사람도 알 것이다고 당연히 전제할 때 나타나는 ‘인식 왜곡’(Cognitive Bias)이다.
말할 때도 앞뒤 다 끊어먹고 혼자만 알아듣는 말만 하는 사람이 있다. 남들이 알지 못하는 정보까지 고려해서 전달하기보다 자기 중심적인 의사전달을 하려다 발생하는 폐해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이 지식의 저주에 걸리면 내가 쓴 문장은 명확하지 않는 글이 된다. 나는 이렇게 썼는데, 다른 사람은 저렇게 이해한다.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내 생각이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다. 하지만 분명하게 쓰지 않은 문장은 읽어도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한다.
이런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뭘까? ①간결하고 ②명확하게 쓰는 것이다.
간결하게 쓰라는 것은 불필요한 정보를 빼고 지나치게 긴 문장을 피하라는 것이다. TMI - Too Much Infomation은 그 누구도 좋아하지 않는다.
명확하게 쓰라는 것은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게 쓰라는 얘기다. 읽는 사람이 헷갈리지 않도록, 누가 읽든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써야 한다.
~'의', '~적' 같은 표현은 되도록 줄이면 좋다. 또한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을 맞추는 기본이 중요하다.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직장은 삶의 필수조건인가? - 세대별 인식변화 (0) | 2020.02.14 |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차이 - 키와 치매 (0) | 2020.02.14 |
우주의 신비 - 중력렌즈 (0) | 2020.02.02 |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 수명 - 100% 완충 완방 효과 (0) | 2020.01.19 |
아주대 외상센터 문제의 쟁점 - 이국종,정경원 교수 입장 (0) | 2020.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