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을 내기 위해 유튜브를 하는 것은 바보라고 생각한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20년 1월 31일 서울 대치동 구글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에서 유튜버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백종원의 유튜브 구독자는 330만명이 넘는다.

 

상위 1%에 드는 채널이기에, 시청자들은 백종원이 ‘억대 수입을 벌 것이다’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영상에 삽입되는 광고 형태는 모두 스킵이 가능하다. 게다가 그는 어떠한 PPL도 진행하고 있지 않다. 제작진은 총 10명인데, 곧 2명을 더 영입하여 인건비는 상승할 예정인데다 한 번 촬영에 드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백종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백종원의 요리 비책’ 채널은 인건비와 제작비를 제외하면 적자 상태다.

 

“요즘 장래희망이 유튜버인 친구도 많던데 이건 너무 잘못됐다”면서 “유튜브를 수익이나 벌이로 생각하면 위험하다. 누군가와 공유하고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 하는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

 

 

 

수익이나 벌이가 주목적이 되는 순간 유튜브는 제목낚시, 조회수에 목매는 어그로로 변질될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공유를 좋아하는 그래서 양질일 수 있었던 컨텐츠가 많이 올라왔다. 지금은 편집기술은 좋아졌을지언정 쏟아져나오는 동영상 중 내가 찾는 진짜 양질 콘텐츠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좋은 동영상이 줄어들었다기보다 시끄러운 노이즈 동영상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다보니 좋은 동영상이 묻혀버린다. 

 

2019년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 보도에서 일본 유튜버 매니지먼트 회사 넥스트의 오카노 다케시 사장은 "구독자 100만명의 인기 유튜버도 10년 후에는 90%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동영상 건당 조회수가 1000만번을 넘는 동영상은 대부분 2~3년전 영상이라면서 "이제는 예전처럼 폭발적인 반응을 얻는 건 극히 어려운 일이 됐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이처럼 구독자 100만~800만명에 달하는 인기 유튜버조차 점점 하향세를 기록하는 이유에 대해 '무분별한 콘텐츠 베끼기'와 '연예인들의 유튜브 시작'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일본 전국민이 유튜버에 관심을 보이면서 타인의 콘텐츠를 무분별하게 베끼는 경우도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닛케이는 "남의 콘텐츠를 베낀 영상을 일찍 올린 이들이 조회수를 다 가져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자유롭게 영상을 올리는 매력이 유튜브의 부흥을 이끌었다면, 이것이 다시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마디로 진입장벽이 너무 낮다.

 

이밖에 유명 연예인이나 방송국 프로그램 자체가 유튜브에 유입되는 것도 유튜브 대박을 꿈꾸는 이들의 발목을 잡는다. 연예인 이름값으로 먼저 먹고 들어가고 거기에 추가로 영상촬영기술이나 편집기술, 장비효과에서 일반 유튜버와는 게임이 되질 않는다. 

 

닛케이는 관련업계를 인용해 유튜브의 광고 수익은 1회 재생할 때 대략 0.1엔 (약 1원) 정도라고 전했다. 비싼 광고가 붙고 광고 뷰가 많은 경우엔 조회 1회당 최대 1엔(약 10.5원)을 벌 수 있다고 한다. 동영상 1건이 100만회 재생되면 수십만원~수백만원을 벌 수 있는 셈이다.

 

구독자 830만를 보유한 일본 1위 유튜버 샤쵸는 닛케이에 "이제 유튜버 중에는 아마추어보다 연예인이 더 많이 보인다"면서 "영상의 주제나 내용으로 과연 연예인의 이름값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일본 유튜버 하지메 샤쵸

 

일본에서는 유치원생까지 유튜버 학원에 등록할 정도로 전 국민적인 유튜브 열풍이 일고 있다. 유튜브 시장은 2015년 33억 엔에서 2017년 219억 엔으로 급성장했고, 2022년에는 579억 엔(약 6100억 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19년 교육부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도 초등학생 희망직업 3위로 유튜버가 꼽혔다.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으로 떠올랐다는건 레드오션, 시장이 포화됐다는 시그널이다. 연예인 또는 소수의 초기선점자들과 조회수를 경쟁하는 것도 바보짓이고 점점 광고로 도배되는 가비지 동영상에 시간을 낭비하는 것도 바보짓이다.

 

유튜브 시스템의 최대 문제점은 동영상의 질 또는 평가에 따라 수익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단순 조회수와 시청시간이 수익을 결정한다는 점이다. 동영상의 내용, 진실성 따윈 그들에게 중요하지 않다. 최대한 자극적으로 클릭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이 영화처럼 내용과 작품성을 추구하는 컨텐츠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노이즈 마케팅이라도 광고만 많이 되면 된다는 마인드와 매우 흡사하다. 

 

이걸로 막대한 돈을 긁어모는건 결국 구글이다.

 

구글이 공개한 `19년 유튜브 광고 매출은 151억 5000만달러(약 18조원)다. 전년대비 36.5% 늘어난 수치로, 유튜브 하나가 네이버의 연매출 (6.6조원)의 약 3배 수준에 육박한다. NBC, CBS, 폭스, ABC 등 미국 메이저 방송사들의 광고 매출도 훌쩍 뛰어 넘었다. 미국 IT 전문매체 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NBC와 CBS의 `19년 광고 매출은 각각 약 60억달러, 약 65억달러다. 구글의 2017년 국내 매출은 2~3조원 규모로 추산됐다.

 

거기에 비광고 매출도 적지 않다. 유튜브 프리미엄 등 유료구독 매출도 30억달러(약 3조 5000억원)에 달한다. 순다르 피차이 알파벳 CEO는 유튜브의 유료구독 가입자가 2000만명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2006년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했을때의 가격은 16.5억달러 (약 2조원)였다.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