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수출입동향 (1월)
수출액 480.1억 달러 (yy +11.4%)
일평균 수출액 21.3억 달러 (yy +6.4%)
수출단가 +29.9%
yy 10퍼가 꺾이면 단기 고점
> 수출 고부가가치화
시스템반도체(수출 증가율 16.0%), 전기차(81.0%), OLED(52.1%), 의료기기(64.0%)
> 주력 15개 제품 중 12개 수출증가
반도체 (21.7%), 자동차 (40.2%), 석유화학 (8.6%), 철강 (6%)
무선통신기기 (58.0%), 디스플레이 (32.2%)
석유제품 (-46%), 일반기계 (-4.8%), 섬유 (-7.9%) ↓
> 3대 시장 모두 수출증가
중국 22.0%, 미국 46.1%, 유럽연합 23.9%
* 미국 ISM 지표 (1월)
제조업
PMI 58.7 (▼1.8)
신규수주 61.1 (▼6.4)
재고지수 50.8 (▼0.2)
생산지수 60.7 (▼4.0)
고용지수 52.6 (△0.9)
가격지수 82.1 (△4.5)
중국 1월 차이신 제조업 PMI = 51.5
서비스업
PMI 58.7 (△1.0)
신규수주 61.8 (△3.2)
고용지수 55.2 (△6.5)
가격지수 64.2 (▼0.2)
10Y BEI = 2.11%
10Y TIPS = -1.02%
달러인덱스 = 90.97
10Y 1.2~1.5% 사이에서 변동성 유의
* 미국증시 콜옵션 거품 상태
* 개별주식 옵션의 풋콜 비율
역사적 평균 0.61
현재 0.43까지 하락
* 콜옵션 투기매매로 감마 스퀴즈 발생
감마 : 기초자산 가격변화량 대비 옵션가격 변화량이 급상승
( 통상 ATM 근처에서 변곡점 발생 )
공매도친 주가가 갑자기 ATM 근처로 와버리니 옵션발행기관에서 허겁지겁 대량매수 들어온것
'경제 > 경제지표 -월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유동성 추이 - 통화 정책, 재정 정책 (0) | 2021.01.21 |
---|---|
물가상승과 미국소비, 수출 관계 (0) | 2021.01.21 |
2021년 미국 S&P500 EPS 추정치 (0) | 2021.01.20 |
인플레이션 헤지 및 자산 상관관계 (0) | 2021.01.17 |
미국 제조업, 소비 물가지표 - 2020.12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