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은 심장근육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다. 심장동맥이라고도 부르며 영어로는 coronary arteries라고 한다.
쉬지않고 운동하는 심장은 영양분과 산소를 끊임없이 공급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심장을 둘러싸는 3개의 심장 혈관이 있다. 이 심장혈관은 왕이 쓰고 있는 왕관 모양을 닮았다고 해 '왕관모양의 동맥'이라 불렸고, 한자로는 '관상동맥(冠狀動脈)' 이라 한다. 이 심장 혈관 중 하나라도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에 피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심장근육에 무리가 오면서 쥐가 나듯이 통증이 생긴다.
기름찌꺼기 때문에 혈류가 잘 흐르지 못하면 협심증, 좁아진 혈관이 혈전으로 완전히 막히면 심근경색이다. 특히 심근경색은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가슴을 쥐어짜는 극심한 통증은 물론, 발병하면 사망률이 매우 높아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실손보험에 '허혈성 심장질환' 보장 항목이 있으면 협심증도 보상받을 수 있는데 허혈성 질환은 피가 잘 통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을 통틀어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빨리 걷거나, 운동, 무거운 것을 들 때처럼 더 많은 혈액을 공급받아야하는 상황에서 주로 발생한다. 감정적으로 흥분할때도 협심증이 나타날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는 노화현상의 일종으로 죽처럼 생긴 죽종, 콜레스테롤과 칼슘, 염증세포 등이 혈관내막에 쌓여서 동맥 혈관이 막히는 만성 질환이다. 여기서 '죽'은 흔히 먹는 그 걸죽한 죽을 말한다. 동맥경화증이 진행되면 혈관이 탄성을 잃고 수축기 고혈압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심장근육도 두꺼워지는 심장비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증식 - 구성세포 수가 늘어나는 것
비대 - 세포 하나하나의 용적이 커지는 것
죽상동맥경화는 늦출 수는 있지만 되돌릴 수는 없다.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흡연이 주 원인이며 따라서 평소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식단으로는 지중해식 식단, 과일·채소·통곡물 위주의 오니시 (Ornish) 식단을 추천한다. 대시식단, 비건식단도 효과가 입증된 좋은 식단이다.
* 40대부터 증가
서구화된 식생활로 심근경색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심근경색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최근 5년 사이 30%가 넘게 증가했다.
2018년 통계에 따르면, 남자가 여자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남성 8만 4127명, 여성 2만 6646명)
연령별로는 30대가 2%, 40대 11%, 50대 27%, 60대 48%, 70대 28%로 나타났다.
* 고위험군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복부비만
가족력이 있다면 젊어서부터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필수다. 가족력이 없는 경우 대비 가족 중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가족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심근경색의 위험도가 2.1배 증가하고 두 명 이상인 경우 3배 증가한다.
또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거나 흡연을 하는 경우 그리고 복부비만이 과한 경우는 일반인보다 더 위험하다고 보고되었다. 수면무호흡 또한 중요한 유발 요인으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증상 및 응급 상황
심근경색증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근육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혈액순환이 완전히 차단되면 지속적으로 가슴 통증이 발생하고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게 된다.
대표적 증상은 안정 시에도 가슴 쪽 통증이 왼팔 쪽으로 퍼져나가는 것이며 흉통이 쉬어도 가라앉지 않고 10분 이상 지속된다면 빨리 병원을 내원해야 한다. 명치끝이 아프면서 식은땀이 나거나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도 위험 신호로 봐야 하며 일부에서는 심하게 체한 것처럼 느끼기도 한다. 일단 증상이 발현되면 쇳덩이가 짓누르거나 쥐어짜는 것 같다고 표현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대한심장학회 김기식 이사장은 "심근경색 환자는 '골든타임'인 두 시간 내 막힌 심장혈관을 뚫는 시술(PCI)을 시작해야 한다"며 "환자가 처음부터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술을 할 수도 없는 병원에서 시간을 허비하다가는 골든타임 두시간이 싹 날아가버린다는 얘기다.
병력이 있다면 5분 이상 통증이 지속될때 주저말고 119를 부르자.
경남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김녹범 센터장은 "119 구급차를 이용하면 이외 수단을 이용할 때보다 골든타임을 지킬 확률이 2~3배로 높아진다"고 말했다. 실제 2014~2017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19 구급차 이용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심근경색 환자의 사망률이 낮았다.
* 검사 및 치료법
관상동맥 조영술은 관상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관상동맥이 정말로 막혀있는지 확인하는 검사다. 혈관이 막혀있는 심근경색증을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실제 혈관이 막혀있다면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을 확장시킨다.
손목이나 대퇴부를 국소마취하고 이 부위 동맥에 도관 삽입관을 삽입한 뒤, 도관이라는 가늘고 긴 관을 심장의 관상동맥 입구에 위치시켜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심장을 열고 수술하는 기존 관상동맥 우회술에 비해 회복 기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심근경색 예방 관리법
- 흡연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큰 요인이므로 금연한다
- 식사는 저염식, 덜 기름진 음식 위주로 바꾼다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복부 비만을 줄인다
- 스트레스 해소는 술보다 걷기와 명상을 추천한다
- 가족력 및 고위험 군에 해당한다면 정기적으로 심장혈관 진단을 받는다
* 심장 건강에 좋은 음식
과일, 생선, 콩, 견과류, 채소, 통곡물, 요거트
* 심장 건강에 해로운 음식
튀김, 도넛(트랜스지방), 가공육, 정제곡물, 밀가루
트랜스지방은 체내 염증 물질을 늘려 혈관 기능을 망가뜨린다. 심장 세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협심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가공육은 살코기가 아닌 지방 부위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고, 보존을 위해 나트륨도 많이 넣는다. 나트륨은 혈관에 스며들어 혈압을 높일 수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탄주가 안좋은 이유 - 알콜흡수율과 숙취해소 (0) | 2019.12.17 |
---|---|
정상혈압, 고혈압 기준과 증상 - 유산소운동이 베스트 (0) | 2019.12.16 |
우울증에 걸렸지만, 약도 싫고 병원도 싫다면 (0) | 2019.12.12 |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 6가지 (0) | 2019.12.09 |
갑상선암 치료는? 수술제거, 조기치료 권장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