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M1 : 1060조 (+133조)
M2 : 3077조 (+165조)
8월 현재는 전년말 대비 +200조 증가로 추정
통화승수 = M2 / 본원통화
한국은행이 실제 찍어낸 돈 대비 시중유통 통화량의 배수
과거보다 돈이 돌지 않고 은행 등에 고여있다는 뜻
단기부동자금 1262조
= 현금, 요구불, 수시입출식, 예탁금, MMF, CMA, CD, RP 등
요구불 : 보통예금,당좌예금 (언제든 조건없이 지급, 대신 금리가 매우 낮다)
수시입출식 : 저축성예금에 수시입출기능을 추가한것 (MMDA)
M2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M1의 증가율이 훨씬 가파르다.
가계보다 기업의 M2 증가율이 훨씬 높다.
자금은 공모펀드에서 직접투자로 이동중
단기부동자금 1% 증가시 → 코스피는 평균 0.91% 상승
코스피 배당성향은 20% 내외
배당수익률과 은행금리는 2017년 전후로 역전
앞으로는 격차가 더 커질것이다.
개인투자자 매수와 코스피
(corr=-0.6)
외국인 매수와 코스피
(corr=0.5)
수출과 코스피 패턴
(corr=0.87)
현재 코스피는 과거와는 다른 패턴이 출현 중
지금은 개인투자자가 매수하면 주가가 오르고, 외국인 매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출금액과의 상관성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경제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X 거래소 K-뉴딜지수 발표 : BBIG (0) | 2020.09.03 |
---|---|
한국 부동산과 주식 시총 변화 그래프 (0) | 2020.09.03 |
2020년 대기업 보유 현금 규모 (0) | 2020.08.24 |
삼성전자 지배구조 및 지분율 (0) | 2020.08.14 |
네이버파이낸셜과 미래에셋 캐피탈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