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P
Liquidity Provider
해당 ETF의 AP로 선정된 증권사 중 매수매도 물량을 공급하는 증권사
대개 복수로 운영됨
호가스프레드
=(최저 매도호가 - 최고 매수호가)
호가스프레드가 국내자산 2%, 해외자산 3%를 초과하지 않도록 매수매도 100주 이상 공급하여 매매 유동성을 확보한다. 지정된 스프레드 범위가 초과되면 LP는 5분 이내에 호가를 제시해야한다.
또한 기초자산 NAV와 시장가격이 너무 벌어지지 않도록 괴리율을 관리하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iNAV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그 근처 가격에서 호가를 제시한다. 해외자산의 경우 거래시간이 끝나 iNAV는 움직이지 않더라도 LP는 장외거래 가격까지 참고하여 호가를 제시하기 때문에 LP호가는 변동될 수 있다.
한국거래소에서는 호가제시를 성실히 이행하는지 매분기별로 LP평가 등급을 공시한다.
* 2020년 1분기 LP평가
A등급 : 유진투자증권
B등급 : SK, DB, 하이, 하나, 신한, 키움, 메리츠, KB, NH, 한국, 미래에셋대우, 유안타, 대신
C등급 : 이베스트, 삼성, CLSA, KTB, 한화, 에스지, 교보
* 2020년 2분기 LP평가
B등급 : 유진, DB, SK, 대신, 미래에셋대우, 삼성, 신한, CLSA, 유안타, 이베스트, 키움, 하나, 하이, 한국
C등급 : KB, NH, 교보, 메리츠, 에스지, KTB, 한화
F등급 : BNK투자증권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중은행 배당성향 표, 금융주 배당비교 (0) | 2020.12.16 |
---|---|
2020년 개인투자자 연령별 투자 수익률 비교 (0) | 2020.11.17 |
2020년 9월 업종별 PER (0) | 2020.09.08 |
문화상품권 이익과 손해 구조 (0) | 2020.08.28 |
2020년 8월 현재 한국 주식은 비싼가? (0) | 202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