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년 남성이 삼시세끼를 모두 홀로 식사하면 매끼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하는 동년배 남성에 비해 복부비만 위험이 2.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밥은 고혈압 위험도 1.5배 증가시켰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정자용 교수팀이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64세 남녀 7728명(남 3404명, 여 4324명)을 대상으로 혼밥과 대사증후군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남성, 여성 모두 하루에 한 번 이상 혼밥하는 비율이 절반보다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중년은 함께 식사하는 중년에 비해 소득·학력은 낮고 비경제활동 비율과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보면, 하루 세번 모두 홀로 식사하는 중년 남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하루 세 끼를 가족 등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하는 남성의 1.7배였다. 또 중년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잦을수록 대사증후군의 구성지표 중 복부비만과 혈압 상승, 혈당 위험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늘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하는 남성에 비해 복부비만 위험은 2.4배, 고혈압 위험은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년 여성들에게서는 나 홀로 식사와 비만·대사 증후군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여성들이 혼밥하는 비율이 작아서인가? 아니다.
여성의 나홀로 식사 행태는 남성보다 더 심했다. 하루 한 끼도 혼밥하지않는 여성의 비율은 38.8%(1679명)에 그쳤다. 하루 1∼2회 나홀로 식사는 전체 여성의 52.6%(2276명), 하루 3회 나홀로 식사는 8.5%(369명)였다. 하루에 혼밥 횟수가 0회인 남성은 전체의 49.2%(1676명), 1∼2회인 남성은 44.5%(1515명), 3회인 남성은 6.3%(213명)이었다.
이 연구결과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공동 발행하는 학술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진은 “중년 남성은 혼자 식사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칼륨 섭취가 적고, 단백질을 섭취하는 칼로리 비율이 낮았는데, 이로 인해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다”며 “중년 남성의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대사증후군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지방섭취량도 혼밥이 더 많았다.
이유는 간명하게 두가지로 추측된다. 과식과 편식.
입맛이 다르고 같이 먹는게 불편하더라도 남과 같이 먹는 편이 영양균형은 더 좋아진다. 혼자 먹으면 말리는사람 없으니 늘 좋아하는것만 먹고, 필요보다 많이 먹게 되니까. 귀찮다고 인스턴트나 편의점식, 배달식으로 대강 때우는 것도 영양에는 악영향을 줄테고.
어떤 것이든 나 좋은 것만 하다보면 편향성이 생기기 마련이다. 싫은 것도 가끔은 하고 살아야 삶의 균형이 맞춰지고 결국 내게도 유익한 것 같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차이점 - 오메가3,오메가6 들어있는 음식 (0) | 2020.01.03 |
---|---|
먹어도 좋은 씨 (수박,포도,석류) 와 나쁜씨 (0) | 2019.12.30 |
대상포진 원인과 증상, 예방접종 (0) | 2019.12.28 |
도파민과 세로토닌 - 경쟁과 조화 호르몬 (0) | 2019.12.24 |
겨울 가려움증의 원인, 콜린성 두드러기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