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결국 인구빨로 굴러간다.
과거에는 생산을 담당하는 노동 인력으로서의 의미가 컸지만 점점 구매력을 포함한 소비시장으로서의 가치도 중요시되고 있다. 내수가 탄탄한 나라일수록 경제 주권이 강해진다. 요즘처럼 국제 무역분쟁, 통화전쟁이 벌어지는 추세라면 최소한의 자기방어를 할 수 있는 인구와 내수 경제력이 곧 국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인구 고령화로 나라 성장동력이 꺼져버린 일본, 그리고 한국의 예를 보면서 베트남 같은 신흥국에서는 산아제한을 하지 않고 오히려 1.4억명까지 인구 늘리기를 국가 목표로 할 정도다.
현재 세계 인구 넘버원과 넘버투는 중국과 인도다. 양국이 각각 14억명, 13억명씩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인구는 2019년 기준 약 77억명인데 두나라가 세계인구의 35%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두 인구대국의 양상은 사뭇 다르다. 중국의 인구증가는 정체되었으며 앞으로 점점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젊은 경제활동인구는 이미 정점을 찍고 줄어들고 있다. 1979년부터 실시된 1집 1자녀 정책 때문인데 2016년에 이 정책을 중단했다.
반면 인도는 계속해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2050년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2030년 경에는 인도와 중국의 인구순위가 역전될 것이다. GDP 성장률은 간극이 좁혀졌고, 2020년대에는 인도의 성장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현재 국내총생산 (GDP) 규모는 중국 약 14조 달러, 인도 3조 달러로 중국이 훨씬 크다.
중국은 시진핑이 선언했던 '샤오캉(小康 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 건설을 2021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올해도 부양책을 총동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21년은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이다. 마침 2020년은 13차 5개년 계획(2015~2020)이 마무리되는 해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의 뚜렷한 하락세를 볼때, 6% 성장률은 이미 틀렸고 바오우(保五, 5%대 성장)도 위험해보인다.
인도는 중국에 이은 세계 2위의 철강 생산국이다. 경제 성장에 맞춰 건설, 도로 등 인프라 구축에 대대적인 투자가 이뤄지면서 그만큼 철강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외국 기업 진출에 배타적인 현지 문화가 여전히 있다. 일례로 포스코는 지난 2005년 오디샤(옛 오리사) 주 정부와 추진한 제철소사업, 2011년 카르나타카 주 정부와 추진한 제2 제철소 설립 모두 현지인들의 거센 반대로 철수한 바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인도 정부는 수입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인도 기업 자체적인 고급 철강재 기술력을 확보하는 데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8%대로 정점을 찍은 후 3%대까지 급락했다. 2016년 이후 화폐개혁과 부가가치세 세제 개혁의 부작용, 투자 부진, 신흥국 경기 침체 등이 원인이다.
'경제 >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세계기업 시총 순위 - 삼성전자 11위 (0) | 2020.01.14 |
---|---|
대만 선거 반중파 승리 - 차이잉원 재선, 시진핑 중국몽에 타격 (0) | 2020.01.12 |
버핏의 화내는 법에 대한 조언 (0) | 2020.01.11 |
원유 유가 안정과 미국 셰일오일 (0) | 2020.01.10 |
중국 디지털 위안화 발행 2020년 추진 (0) | 2020.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