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들은 사모펀드 대신 레포펀드 판매를 재개하려는 모양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수익원천인 일반채권과 RP간 금리차이(spread)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년 6월말 기준 레포펀드 설정액은 6조4000억원 규모다.

 

(2018.01 기준) 레포펀드 수 86개, 설정액 1조5000억원에서 크게 늘어난 액수다. 레포펀드는 기업 신용등급 ‘AAA’ 우량 채권이나 ‘A1’ 등급의 CP(기업어음) 또는 ABCP(자산담보부 CP)에 중 듀레이션이 짧은 3개월, 6개월 채권에 투자하는 단기 채권형 펀드다.

 

레포펀드는 단기간에 예금 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어 기관과 대형 투자자(1억원 이상)들이 선호하는 상품이다.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증권사는 펀딩을 통해 모은 자금으로 발행과 거래가 많은 단기 금융채나 기업어음(CP) 등의 신용물을 매입한 뒤 이를 담보로 국공채를 빌린다. 이후 이 국공채를 담보로 현금을 조달 (RP매도)하고, 다시 신용(credit) 시장에서 다른 회사채 등을 매수해 차익을 얻는다.

 

예를 들어 금리 2%인 만기 3개월짜리 은행채를 300억원 매수한다고 가정해보자. 펀딩을 통해 현금은 우선 100억원을 모은다. 이때 돈이 부족하기 때문에 금융회사는 100억원으로 산 은행채를 담보로 시장에서 200억원어치 자금을 빌린다. 빌린 200억원은 하루짜리 RP 거래를 한다. 하루짜리 초단기 금리는 시장금리보다 낮아서 200억원의 자금을 매일 매수/매도해도 3개월 동안 1.5%의 이자만 주면 된다. 금융회사는 만기 때 2%의 금리를 받으면 0.5%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운용방식으로 투자자들은 3개월간 0.5%에 상당하는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보통 담보증권의 신용등급이 낮거나, 차입자의 신용위험이 높을수록 높은 추가담보비율(hair-cut)이 적용된다. 통상 100억원어치 CP를 사면 증권사들은 국공채를 75억원 안팎으로 차입할 수 있다. 75억원 국공채를 담보로 기관간 RP시장에 가서 현금을 조달할 때에는 70억원 가량을 차입할 수 있다. 쉽게 말해 100억원 짜리 CP에 투자하면서 70억원의 추가 투자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셈이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차입비율을 늘려 기대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최대 차입비율은 순자산 대비 최대 400%(4배)로 제한되는데, 헤어컷 비율 등을 고려했을 때 실질적인 차입효과는 3배 정도다. 이런식으로 여러번 차입해 재투자가 이뤄지기 때문에 만기가 비슷한 일반 채권형펀드보다 연 1%포인트 이상 높은 수익이 가능해진다.

 

특히 채권가격이 오르는 금리 하락 또는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서는 수익이 극대화된다. 레포펀드 운용 수익률은 채권 및 CP의 금리와 조달시장에서 적용받는 비용(레포 금리) 차이에서 결정된다. 초단기금리일수록 시장 움직임에 영향을 직접 받는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기관간 레포 거래 이율은 0.30~0.63% 사이에서 움직였다. 기준금리 인하 전인 지난 5월 27일 0.65~0.87%보다 낮다. 쉽게 말해 조달비용이 줄면서 수익기회가 커진 셈이다. CP 금리까지 하락하면 가격상승에 따른 이익도 누릴 수 있다. 지난 5일 기준 271일~1년 CP의 할인 가중평균금리는 0.95%로 금리 인하 직전(5월 27일, 2.06%)보다 1%포인트 이상 내려갔다.

 

펀드인 만큼 수수료가 중요하다. 인하우스 헤지펀드 운용사들이 판매사를 통해 제시하는 수익률은 연 2.3~2.5% 수준이다. 운용보수는 10bp(100bp=1%포인트), 판매보수는 20~30bp다.

 

단, 금리가 오를때는 손실 위험이 존재한다. 조달비용도 오르고, 채권가격은 하락하는 국면이다. 차입을 활용하기 때문에 손실 폭도 레버리지 비율을 반영한다. 실제 코로나 여파로 단기물 시장이 경색되면서 레포펀드 수익률은 한때 마이너스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2018.01 기준금리 = 1.5%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