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핀포인트로 동까지 지정한 분양가상한제 27곳

 

강남 4구와 영등포구 여의도동, 마포구 아현동,

용산구 한남동·보광동, 성동구 성수동1가

 

분양가 상한제란, 분양가를 토지비와 건축비 합계 이하로 정하는 것이다.
또한 분양권을 최대 10년동안 팔 수 없고, 최대 5년까지 실거주 의무가 부과되는 내용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은 결국 신축 공급량을 확보해야한다. 신축공급의 시그널을 주지 않으면 기존 부동산의 가격은 계속해서 뛸 수밖에 없다.  

 

그런데 신축이라고 가격이 오르는 것은 아니다. 왜 어떤 지역은 계속해서 값이 오르고 어떤 지역은 찬바람만 쌩쌩 부는 것일까?

 

부동산114가 종로학원 하늘교육의 ‘2018~2019학년도 고교 진학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년간 서울 구별 과학고·영재학교 합격자 비율은 △강남(1.5%) △서초(1.3%) △광진(0.9%) △노원(0.9%) △송파(0.8%) △양천(0.8%) △마포(0.7%) △동작(0.7%) 순으로 조사됐다. 이 중 전통의 고학군 6개를 빼면 2018년 이후 크게 늘어난건 마포, 성북이다. 

 

 

마포, 성북을 보면 신축 고가아파트들이 대거 들어섰고, 이 고가 새아파트에 소득 수준과 교육열이 높은 중산층이 대거 입주하면서 고성적자 비중도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새아파트가 늘면서 11월 현재 마포구 아파트 가구당 평균매매가격은 약 9억3000만원으로, 서울시 평균 약 8억9000만원보다 높다. 성북구는 4억5천 정도에서 2년만에 평균 6억까지 올랐다.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교육환경, 교육시장과 뗄레야 뗄수가 없는 관계가 있다. 직장 출퇴근은 멀리서 하면 할 수 있어도 학군은 바꿀 수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지방 대도시 광주나 대전 아파트값이 급등한 곳을 보아도 투기꾼들은 일정 수준의 학군이 확보된 지역을 우선 노린다. 최소한의 수요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