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더부룩할때 콜라를 벌컥 마시면 속이 뻥 뚫리는 느낌이 들지만 이것이 소화를 돕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소화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위장이 좋지않은 사람에게 탄산음료는 금물이다.

 

사실 콜라의 시작은 소화제 용도로 1886년에 개발되긴 했다.

존 펨버턴이 약국에서 소다에 여러가지를 섞어 소화제로 판매해본 것이 그 기원인데 콜라에 들어가는 코카 잎이나 향료 일부에 소화 성분이 약간 들어있긴 하다. 페루, 볼리비아 원주민들은 코카 잎을 따서 약초로 쓴다.

 

그러나 콜라에는 당과 탄산을 포함한 다른 성분이 훨씬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소화제와는 완전히 다르다. 

일반적인 소화제의 원리는 위장운동을 촉진하여 소화액을 더 잘 분비하게 하거나, 스스로 소화효소 성분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소화효소제는 동물(주로 돼지), 식물, 미생물에서 추출한 물질로 영양소 분해를 돕는 작용을 하고 기본 소화효소제에 아래와 같은 효과를 더해주는 성분들이 추가로 들어간다.

 

 

콜라를 마시고 뱃속이 가벼워지는 느낌은 트림으로 가스를 배출하면서 소화가 되지 않은 음식물까지 장으로 내려가는 바람에 생기는 효과에 불과하다. 위장에서 충분히 소화가 되지않고 내려간 음식물은 소화장애를 일으키고 위산역류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사실 탄산음료가 몸에 좋지 않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의사, 약사, 영양사 100명을 대상으로 되도록 피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설문한 결과에서도 탄산음료가 1위(42명)를 차지했다. 당분 함량이 과도하게 많고, 탄산이 식도를 자극하고, 포만감에 비해 열량이 지나치게 높은 것이 이유였다.

 

미국 연구에 따르면 콜라는 이상지질혈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 터프츠대 연구팀은 40대 성인 약 6000명을 12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주 7회 이상 탄산음료를 마신 사람은 월 1회 미만으로 탄산음료를 마신 사람들보다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감소 위험이 98% 높았고 중성지방이 많을 위험도 53% 더 높았다. 이런 혈액 속 지방은 혈액을 끈적하게 해 혈전(피가 뭉쳐진 덩어리)을 유발하고, 동맥을 좁혀 심장마비·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니콜라 맥케이운 박사는 "탄산음료, 레모네이드와 같은 설탕이 첨가된 탄산음료를 많이 섭취할수록 이상지질혈증 위험이 커진다"며 "건강을 위해 설탕이 첨가된 음료는 최대한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콜라에 레몬을 섞는다고 탄산의 당분이 중화되지는 않는다. 탄산의 산성물질은 치아부식과 마모를 일으키므로 바로 양치하지 말고 물로 한번 헹궈주는게 좋다.

 

* 탄산음료의 성분

 

탄산음료는 정제당과 정제수, 탄산가스, 구연산, 카페인, 인산 등으로 구성된다. 색을 내는 합성착색제(캐러멜색소 등)나 향을 내는 합성착향료 등 인공첨가물도 들었다. 탄산음료는 당분이 많이 든 음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콜라 1캔(250mL)에 포함된 당류는 27g이다. 각설탕 7개 분량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 하루당 섭취량을 50g으로 제한하고 있다. 콜라 한 캔만 마셔도 절반 이상을 넘는다.

 

탄산음료에 든 인산 성분은 세균과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고 톡 쏘는 맛을 낸다. 하지만 이를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섭취하면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다. 인산 섭취는 골다공증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몸속에 있는 칼슘이 빠져나가도록 해 뼈를 약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계속 탄산음료를 마시면 치아 겉면이 벗겨져 부식될 가능성이 높다.


탄산음료는 당분만 포함된 음료다.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소는 없다. 많이 마시면 음식을 통해 섭취한 영양분이 빠져나가도록 돕는다. 탄산음료를 마시면서 흡수한 당을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영양소가 필요한데, 탄산음료 자체에는 없기 때문에 몸속에 있는 비타민 미네랄 등을 사용한다. 몸속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부족해지면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탄산음료에는 각종 인공첨가물도 들었다. 몸속에 한 번 들어온 인공첨가물의 일부는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쌓인다. 지나치게 많이 쌓이면 신경장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면역력이 떨어져 염증이 생길 위험도 높아진다. 


탄산음료는 최대한 적게 마셔야 한다. 꼭 마셔야 한다면 입에 머무는 시간을 짧게 줄여야 한다. 치아 건강을 위해서다. 공복에 마시면 위가 큰 부담을 느낄 수 있어 삼가야 한다. 탄산음료는 물이나 얼음을 섞어 마시는 것이 좋다. 당분이 중화되기 때문이다.

 

탄산음료를 먹고 난 뒤 하루 안에 같은 양의 물을 마시면 탄산음료가 체내 칼슘 흡수를 방해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Posted by 영애니멀
,

칫솔에 있는 균을 제거하려면 '식초'를 활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양대 치위생학과 연구팀이 구강청결제, 베이킹소다, 식초가 칫솔에 증식한 세균을 없애는 효과를 알아봤다.

 

방법)

각각의 재료를 1% 수준으로 희석시킨 증류수에 칫솔을 5분 담근 뒤

일반 세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의 변화를 관찰했다.

 

결과)

식초에 담갔을 때 모든 균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일반 세균은 7889CFU/㎖에서 0CFU/㎖로, 대장균은 1980CFU/㎖에서 0CFU/㎖로, 황색포도상구균은 2432CFU/㎖에서 0.6 CFU/㎖로 줄었다.

 

구강청결제에 담갔을 때

일반 세균은 254 CFU/㎖, 대장균은 12.6CFU/㎖, 황색포도상구균은 0.4CFU/㎖로 감소했다.​ 식초의 냄새가 싫다면 희석시키지 않은 구강청결제를 컵에 조금 덜어 칫솔을 5분간 담가놓으면 칫솔 살균 효과를 볼 수 있다.

 

칫솔 살균은 1주일에 한 번씩 하는 게 좋다.

또한 보관은 습기가 많은 화장실에 칫솔을 두지말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한다.

 

2~3개월정도 지나서 칫솔모가 갈라지기 시작하면 바로 바꿔줘야 한다. 벌어진 칫솔모로는 이사이가 잘 닦이지도 않고 잇몸 조직 마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잇몸이 부실해지면 치아를 잃는 것은 순식간이다. 만일 1개월도 안돼서 칫솔모가 갈라진다면 본인의 양치습관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손에 힘을 빼고 살살 닦는게 좋다.

 

Posted by 영애니멀
,

두통의 상당부분은 뇌혈관이 수축,팽창하면서 신경을 건드려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갑자기 찬 아이스크림을 먹었을때 뇌혈관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아이스크림 두통이 대표적이다. 

 

아이스크림 두통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은 다음 두 가지다.

 

1. 온도유지를 위한 혈관확장

 

 

 

2. 냉각신경이 혈관을 수축팽창시킴

 

 

아이스크림 뿐만 아니라 다음 식품들도 혈관을 확장,수축시켜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이어트 콜라, 탄산음료

막걸리

커피,홍차,코코아 카페인

치즈,버터

소시지,베이컨 등 육가공식품

 

술을 마시면 생기는 두통도 알코올 분해로 생긴 아세트알데히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혈관확장 두통이다.  

 

다만 갈증해소에는 차가운 물이 더운 물보다 효과가 있다. 이는 단순 심리적인 느낌 뿐 아니라 갈증 신호를 보내는 뉴런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실제 작용이다. 물을 마신다고 바로 체내 흡수가 되는 것은 아니다. 갈증 신호 뉴런이 이제 수분밸런스가 맞춰질 것을 예상하고 신호를 보내지 않을때 갈증이 줄어든다. 이때 더운 물 대신 찬물을 마시면 뉴런의 활동이 더 빨리 냉각·중지되므로 뇌가 느끼는 갈증은 더 빨리 해소되는 것이다.

 

Posted by 영애니멀
,

 

구워먹으면 영양소가 손실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영양소가 농축되고 체내 흡수율이 높아지는 과일과 채소도 있다.

 

양파 : 단맛을 내는 (설탕의 50배 정도) 성분이 열분해로 만들어진다.

마늘 : 아조엔이라는 성분이 늘어나면서 혈전을 방지하고 노폐물 배출에 효과가 있다. 

당근 : 항산화성분 흡수율이 5배 이상 높아진다.

가지 : 수분이 줄고 항산화성분이 농축된다.

 

익혀먹으면 좋은 과일

 

토마토 : 항산화성분 라이코펜의 흡수율이 높아진다.

사과 : 펙틴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체내 지방 분해에 도움이 된다.

복숭아 : 폴리페놀을 증가시켜 활성산소 제거에 좋다.

 

 

 

선조의 지혜와 함께

고기 먹을땐 역시 양파,마늘은 필수.

 

양파ㆍ마늘 등 황화합물이 들어 있는 향신료와 연잎ㆍ올리브잎ㆍ복분자과육 등 항산화물이 함유된 소스를 첨가하면 고기가 탈때 생기는 발암물질 (헤테로사이클릭아민) 생성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당근,가지를 먹기 싫어하는 아이는 구워서 줘보면 괜찮을듯?

 

사과랑 토마토는 구우면 더 맛있어진다는 얘기를 들은 적은 있는데 실제론 그렇게 먹기가 힘들지.

상추는 어떨까? 상추도 구워보면 영양이 좋아질까.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