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기준금리 전망 점도표 (총 18명)

 

* 2022년 

동결 : 14명

인상 : 4명  ( ▲3 )

 

* 2023년 

동결 : 11명

인상 : 7명  ( 2 ) 

 

1.0~1.25% 2명  (1)

0.75~1.0% 3명  (3)

0.5~0.75% 1명  ( - )

0.25~0.5% 1명  (▽2)

 

작년 12월에 비해 금리인상을 점치는 사람이 2명 늘어났고 예상 금리수준도 더 높아졌다.

이 추세대로면 첫 금리인상은 2023년 하반기가 유력해보인다. 단 파월은 기자회견에서 '점도표는 여러 위원들의 개인적인 전망을 그냥 모아놓은 것'이라며 Fed의 공식 전망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 기준금리 (연방기금금리, Federal Fund Rate)를 결정하는 투표는 Fed 이사회와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상시 투표권을 갖고, 나머지 주 연방은행 총재들은 돌아가면서 투표권을 갖는다. FOMC 위원은 이사회 7명 + 뉴욕 총재 1명 + 11개 주 총재 중 4명, 총 12명으로 구성되며 투표결과가 동수일 경우는 FOMC 의장이 결정권을 갖는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12월 4.2%에서 6.5%로 높아졌다. 2022년 성장률은 기존의 3.2%에서 3.3%로 올랐고 2023년 성장률은 2.4%에서 2.2%로 낮아졌다.

올해 핵심 인플레이션 전망치도 지난 예상치 1.8%에서 2.2%로 높아졌다. 연준은 평균 2%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한다. 내년 전망치는 기존의 1.9%에서 2.0%로 올랐고 내후년 전망치는 2.0%에서 2.1%로 상승했다.

 

올해 연말 실업률은 4.5% (내년 실업률은 3.9%)로 전망했다. 작년 12월에 내놓은 예상치는 5.0% 였다. 그러나 실업률은 매우 불충분한 통계이며 실업률뿐 아니라 노동참여율 여러 지표를 통해 전체 고용시장을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실업률이 4%대가 되어도 여전히 완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 Longer run

3.0% : 2명

2.75% : 1명

2.5% : 8명

2.375% : 1명

2.25% : 4명

2.0% : 1명

 

17명의 장기 전망 평균치는 2.478%다.

 

참고로 Fed는 워싱턴에 있다. (월가는 뉴욕)

 

Posted by 영애니멀
,

뱅크오브아메리카 (BofA) 설문

글로벌 펀드매니저 220명

 

향후 인플레이션 발생은 공통 컨센서스

 

* 기준금리 인상 시점 예상

23년 상반기 : 27% 

22년 하반기 : 23%

23년 하반기 : 19%

 

 

* 미국채로의 머니무브 시점 예상

10Y 2.5% : 33%

10Y 3.0% : 28%

10Y 2.0% : 17%

10Y 3.5% : 9%

 

컨센서스 평균은 약 2.6%

 

 

* 펀드 내 현금 비중 = 4.0%

현금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며 기술주 매매가 특히 활발하다.

 

버블이다 : 15%

강세장이다 : 80%

 

 

Posted by 영애니멀
,

<연준 조직도>

의장 : 파월

이사회 : 6석 (현재는 5명)

집행기구 : 주 연방은행 총재 12명

 

2020년 12월엔 미국 FOMC 위원 17명 (5+12)이 투표

 

* 2021년 

금리인상 없음

 

* 2022년

0~0.25%  16명

0.25~0.5% 1명

 

* 2023년 

0~0.25%  12명

0.25~0.5% 3명

0.5~0.75% 1명

1.0~1.25% 1명

 

동결 12명 vs 인상 5명

이 결과대로면 최초의 금리인상은 2023년 하반기가 유력하다.

 

 

* Longer Run 금리 전망

 

장기금리 전망치는 2.5%가 8명으로 가장 많았다.

16명의 평균 전망치는 2.489%다. 

 

장기금리 전망치는 적절한 금융정책 하에서 새로운 충격이 없을 때 수렴하는 정책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연준이 목표하는 연방 기준금리의 도달 지점으로 3월, 6월, 9월, 12월에 점도표 상에서 공표된다. 과거 2012년 장기금리 전망은 4%대였지만 잠재성장률 저하 등으로 점점 낮아져왔다. 

 

 

* 역사적 장기금리 추이

 

1980년대를 정점으로 미국 금리는 계속 하락해왔다.

예측(Forecasts)은 늘 현재보다 미래에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고 했지만

실제(Actual)로 그해가 되면 대부분 예측치를 훨씬 밑돌았다. 

 

골드만삭스 예측치

 

Posted by 영애니멀
,

* 2020년말 기준 

1위 삼성전자 29조

2위 기아차 10조

3위 현대차 9.9조

4위 LG전자 5.9조

5위 포스코 4.7조

 

현금성자산이 많다는 것이 꼭 유보이익이 많다는 뜻은 아니다. 2020년 코로나 위기때 차입 등으로 현금을 대거 확충한 기업도 많기 때문이다. 1년 전과 비교하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포스코케미칼, 증가액이 가장 큰 기업은 기아차다.

 

시총 30대 기업 대부분이 현금성자산을 늘렸지만 네이버, LG생활건강, 엔씨소프트,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히려 현금성자산이 줄었다. 특히 네이버와 엔씨소프트는 2019년 보유액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는데, 2020년을 기점으로 공격적인 사업확장과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 현금성 자산

현금 또는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요구불예금 등의 자산

 

 

Posted by 영애니멀
,

3월9일~10일

총 청약 증거금 = 63조 6198억원 (역대 1위)

 

2위 카카오게임즈 58조 5543억

3위 빅히트 58조 4237억

 

* 청약경쟁률 = 335 : 1 (역대 3위)

총 240만 계좌

NH투자증권 (334 대 1)

한국투자증권 (372 대 1)

미래에셋대우 (326 대 1)

삼성증권 (443 대 1)

하나금융투자 (285 대 1)

SK증권 (225 대 1) 

 

1위 카카오게임즈 1525 :1

2위 빅히트 607 :1

4위 SK바이오팜 323 :1

 

* 증권사별 균등배분 경쟁률

 

NH투자증권 106만주 / 계좌 64만개 = 1.6주

한국투자증권 66만주 / 계좌 55만개 = 1.2주 

미래에셋대우 63만주 / 계좌 48만개 = 1.3주 

하나금융투자 14만주 / 계좌 21만개 = 0.6주

삼성증권 14만주 / 계좌 39만개 = 0.3주

SK증권 23만주 / 계좌 11만개 = 2.1주

 

공모가격 = 주당 6만5천원

 

균등배정은 소수점 단위일 경우 추첨을 통해 결정한다.

6개 증권사에 모두 청약했다면 확률적으로 약 7주를 받을 수 있다.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는 1~2주씩을 받을 수 있고 SK증권은 2~3주를 받는다.

 

에스케이 바이오사이언스 거래소 신규상장일은 3월 18일(목)이고 수요예측 기관경쟁률은 1275 : 1을 기록했다. 기관들의 의무보유 확약비율은 약 60%로 1개월차, 3개월차에 주로 몰려있다.

 

증권사별 공모 주식 수는 다음과 같다. 

 

 

Posted by 영애니멀
,

*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 (괄호 안은 20년 전 비중)

전세계 주식 시총의 14%  (3%) 

전세계 GDP의 43%  (24%)

 

글로벌 투자은행(IB) 크레디트스위스는 3월 4일, '2021년도 글로벌 투자 수익 연감 보고서'를 발표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리차드 커슬리 리서치상품 및 증권리서치 책임자는 "올해 연감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에서 어느 때보다도 중요도가 커진 신흥시장에 대해 매우 철저한 분석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20년 전만 해도 신흥시장은 전세계 주식 시가총액에서 매우 미미한 비중을 차지했지만 현재는 6분의 1 수준까지 커졌고 영향력 또한 강해졌다"며 "글로벌 포트폴리오 다변화 측면에서도 신흥시장은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의 약진이 도드라진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신흥 시장 지수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에 불과했으나 현재 39%로 급격히 커졌다. 이는 신흥국 중 최대 규모다. 보고서는 "중국 A주가 점차 포함되면서 중국 주식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과 홍콩, 대만 증시 역시 '훌륭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한국은 세계 10대 주식시장으로 올라서면서 주목받고 있다.

 

보고서는 "지난 50년(1971년~2020년)간 한국의 연환산 실질 수익률주식의 경우 9.6%, 채권 8.2%, 국채 2.1%를 기록했다"며 "한국은 이제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시가총액의 50%를 기술이 차지하는 세계 10대 주식시장이 됐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제 투자자들이 리스크 때문에 신흥시장 투자를 꺼려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지난 20년간 개별 신흥국들이 지닌 리스크가 급격하게 줄었고 선진국과 신흥시장간 평균 리스크 격차 역시 좁혀졌기 때문이다.

 

크레딧스위스는 작년 10월에도 한국 주식 시장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선호(top pick)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Fineman said. "We expect Korea to make the strongest performance recovery in 2020 and 2021 in the Asia-Pacific region."

 

CS yearbook 2020

 

Posted by 영애니멀
,

OECD는 3월9일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3.3%기존보다 0.5%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올해 한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본 것이다.

 

수출은 3개월 연속 호조

그러나 2분기에도 증가율이 꾸준히 유지되는지 체크 필요

  

 

* 반도체 업황

현물가는 거래량은 적지만 (약 10%) 도매 고정가의 선행지표 역할을 함

고정가는 대형 벤더들이 대량거래를 할때 월말에 다음달 공급가를 미리 정해두는 것을 말한다.

 

D램가격이 6~8달러 선까지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

 

 

* 유통업종

이커머스는 꾸준한 성장

백화점 계열 오프라인 리테일은 봄,여름 반등 예상

 

 

 

* 화학업종

LG화학 - 배터리

대한유화 - 배터리소재

금호석유 - 라텍스장갑

롯데케미칼은 2021년 턴어라운드 전망

 

 

* EV 배터리업종

 

2월4일 ~ 3월4일 (1M 등락)

LG화학   -12%

삼성SDI  -13%

SK이노베이션 -17%

CATL  -21%

 

주요배터리 회사 모두가 연초 상승분을 반납하고 하락중이다. CATL은 YTD로 무려 25%나 하락했다. 유럽전기차 판매가 둔화된 것과 각종 화재사고에 대한 비용 리스크가 커지면서 이익 상승에 대한 기대가 줄어든 것이 원인이다. 자동차용 배터리는 대부분의 회사가 아직도 영업적자 상태에 있다. Q가 늘지 않는 가운데 리콜 비용이 발생하면 턴어라운드에 치명적이다. 

 

 

 

* 글로벌 전기차 동향

 

 

* 호텔, 면세점

호텔신라 주가는 결국 중국인 관광 수요가 결정한다. 현재 나타난 시장평가는 부정적이다. 

 

 

* 철강업종

포스코는 중국 철강수요와 가격이 키 팩터

 

 

* 외국인 주요 매매동향

매수 : LG화학, 네이버, SKT, POSCO, 은행주

매도 :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삼성전자, 기아차, LG전자, 현대모비스

 

;

Posted by 영애니멀
,

21년 2월, 연준 의장 파월은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고용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의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목표까지) 3년 이상 걸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만 개입하겠다는 것으로, 연준의 목표치는 평균 2%다. 다시 말해 2023년까지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시장은 그보다 훨씬 빠른 금리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 미국 기준금리 인상 컨센서스 (Refinitiv) 

2022년말 1회

2023년중 2회

 

22년말~23년 사이에 총 3회 전망

 

 

① 미국채 10Y 금리 2.5~3% 

물가상승률 3%대 (평균 물가 2%대)

실업률 4%대

 

미국은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채 장기금리 추이 

올해 연초 10Y 금리는 두달만에 무려 0.6%p나 급등했다.

 

이에 따라 미국채를 추종하는 ETF의 TR 수익률도 급락했다.

10년물 -5%

20년물 -13%

 

주요 신흥국은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자본유출도 주의해야한다.

 

2013년 5월 버냉키 전 의장의 "향후 몇 번의 회의에서 테이퍼링을 논의할 것"이라는 발언으로 발생한 테이퍼 탠트럼은 10년물 금리를 두 달 만에 1.6%에서 2.7%로 치솟게 만들었다. 미국 증시도 급락했지만 6월24일까지 S&P 500은 5.7% 하락했을 뿐이고 진짜 피해는 이머징마켓이 직격으로 받았다. 미국의 긴축 논란에 글로벌 금융 시장으로 퍼졌던 달러가 회수되었고 채권 시장에서도 달러가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현재의 국채금리 상승은 다분히 연준의 방관과 의도 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락모락 군불때기로 경기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그 부작용인 급격한 자산버블을 막으려면 금리가 어느 정도 상승해야한다. 실제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조정을 받고 변동성이 커졌지만 대표지수인 S&P 500은 별 타격이 없었다. 연준은 올해 내내 간잽이 포지션에 서서 인플레와 버블 사이를 드리블할 것이다. YCC, OT 같은 장기금리 조작은 비상시가 아니면 하지 않는다. 자산시장에 중앙은행이 직접 개입하는 것은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을 낳기 때문이다.

 

연준이 원하는 시나리오는 백신보급과 경제 재개까지 시간을 버는 것이며, 필립스 곡선에 따라 고용을 늘리면 적절한 인플레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와 반대로 팬데믹이 자극한 기술혁명으로 인해 미국 실업률은 만성화될 것이며 필립스 곡선은 허상이라는 의견도 있다.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

실업률이 8% 이상으로 아주 높을때는 인플레이션과 상관관계가 약해진다. 그러나 실업률 4~6% 구간에서는 인플레와의 상관관계가 커진다. 

 

 

미국채 실질금리가 상승하면 

PER이 하락한다  > 기술성장주 타격

 

실질금리 = 명목금리 - 기대인플

 

 

* 미국채 금리 분석

- 기대인플은 유지되는 중

- (장기) TIPS가 상승한 것

 

 

* 미국 실업률은 5%대까지 하락하는 추세

21년 2월 실업률 6.2%

 

미 연준은 고용이 회복될 때까지 금리인상은 없다는 입장이다. 전망에 따라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 결과를 확인하고 움직이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률이 크게 꺾이는 시점이 중요하다. 실업률의 역사적 하한은 3%로 여기에 도달하면 사실상 완전고용으로 볼 수 있다. 옐런 재무장관은 2022년이면 목표 고용률 4%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 미국 소비자물가 추이

1.5% 내외

2월 CPI = 1.7% 

 

실업률이 아래처럼 느슨한게 떨어지고 물가상승이 완만하다면, 기준금리 인상시점은 연준이 제시한대로 2024년이 유력하다.

 

 

Posted by 영애니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