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을 받는 곳에서는 문상 결제를 해주고 해당 금액을 한국문화진흥에 청구한다. 문상 자체에 마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상 결제를 통해 늘어나는 매출만큼 수익을 챙길 수 있다.
한국문화진흥의 이익지표를 보자. 영업실적은 매년 손실을 냈는데 신기하게 당기손익은 늘 플러스다. 비밀은 영업외 수익에 있다. 상품권을 발행하면서 먼저 받은 현금에 대한 이자수입과 사용하지않은 상품권의 낙전수입이 당기손익을 흑자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실제 흑자의 대부분은 낙전수입이 만들어낸다.
라인(LINE Corporation)과 야후재팬, Z홀딩스를 거느릴 합작법인(Joint Venture, JV)의 이사회 구성이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2대 3으로 결정됐다. JV의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대 50이지만 이사회는 소프트뱅크 측이 한명 더 많다. 소뱅은 인수합병시 경영권은 절대 놓지 않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공동대표 체제에서 이사회 의장은 네이버가, 최고경영자(CEO)는 소프트뱅크가 갖고 재무임원(CFO)은 양쪽 1명씩, 최고상품책임자(CPO)는 네이버 측이 확보했다. 네이버 측도 일방적으로 끌려다니지 않기 위한 장치는 해둔 셈이다. 그러나 CFO를 2명 두는 체제에서 재무관리가 효율적으로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추진하는 라인·야후재팬 경영통합의 핵심은 현재 네이버의 종속기업인 라인을 JV 아래에 두는 것이다. 이 회사 밑으로 라인, Z홀딩스와 야후재팬이 모두 들어가고 이를 공동경영하는 게 골자다. 라인은 네이버가 지분 72.44%를 갖고 있지만 공개매수 등을 통해 이를 50대 50으로 바꾸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분은 동률로 하되 지배력은 소프트뱅크 측에 넘기기로 했다. 공개매수 후 지분조정이 끝나면 라인은 네이버의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되고, 소프트뱅크의 연결자회사로 편입된다. 네이버 입장에서 지금은 라인의 적자가 연결재무에 그대로 반영되지만 경영통합이 시작되면 지분법으로 회계처리를 바꿔 1조원 이상의 재무제표 이익이 예상된다. 그동안 라인은 페이 마케팅 출혈경쟁으로 악성적자 상태였다.
인터넷업계 관계자는 "라인, Z홀딩스 모두 글로벌 경영을 추구하고 있지만 본사가 일본에 있는 만큼 일본그룹(소프트뱅크)의 자회사로 두는 게 여러모로 편리할 것"이라며 "소프트뱅크 산하로 편입시키는 게 한·일 갈등이 달아오를 때마다 불거질 수 있는 국적논란을 불식시키기에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JV의 이사회 구성이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에 2대 3으로 배분된 연유도 여기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분이 동률이면 이사도 동수로 맞추는 게 관행이지만 소프트뱅크 측이 한 석 더 가져갔다.
이와 함께 신중호 CWO는 네이버 임원직과 서치&클로바 CIC 대표직에서 물러난다.
네이버 측 대표는 이해진 GIO(겸 라인 의장), 소프트뱅크 대표는 미야우치 켄 사장이다. 이해진 GIO에게 이사회 의장(Chairperson of the Board) 자리가, 미야우치 사장에게 CEO 자리가 주어졌다. 경영총괄은 소프트뱅크 인사가 하되 네이버 인사가 이사회를 통해 감독·견제가 가능한 구조다.
황인준 라인 최고재무책임자(CFO)와 후지하라 가즈히코 소프트뱅크 CFO도 이사회에 합류한다. CFO는 동수로 선정해 재무전략을 공동으로 경영키로 했다. 나머지 이사 1인은 소프트뱅크에서 네이버의 동의를 받아 추후 선임할 계획이다.
이사회 산하에 핵심기구라 할 수 있는 '상품위원회(Product Committee)' 구성안도 윤곽이 나왔다. 라인과 야후재팬에서 각각 5명씩, 총 10명의 인원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라인 측에서는 이데자와 다케시 대표와 신중호 고객감동책임자(CWO), 박의빈 최고기술책임자(CTO), 마스다 준 전략마케팅책임자(CSMO), 황인준 CFO가 참여한다.
상품위원회는 CPO가 주재한다. 3년 임기인 CPO는 이사회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선임 및 해임이 가능토록 했다. 상품위원회의 의사결정은 과반수 찬성을 원칙으로 하되 동수가 나올 경우 CPO가 캐스팅보트를 갖는 것으로 정했다. 첫 CPO는 신중호 라인 CWO가 내정됐다. 네이버 측 CPO를 가져갔지만 CPO 신임여부는 이사회 3분의 2를 차지한 소프트뱅크가 사실상 결정하는 셈이다.
정리하면 이사회 구성과 경영총괄은 소프트뱅크가 가져간 대신, 이사회 의장직을 네이버에 주고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함으로써 균형을 맞췄다. 핵심기구인 상품위원회는 동수로 구성하되 CPO를 라인 측 인사에 주면서 상품개발 및 출시권한은 네이버쪽에 힘을 실었다.
개인투자자 평균 수익률이 유독 떨어지는 것은 인버스2X로 손해본 개미들이 워낙 많아서이다. 도박식 베팅을 하지 않고 롱포지션으로 우량종목을 사들인 개미들의 수익률은 기관 못지 않다.
단, 코스피 본좌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부진하다. 삼전이 제자리걸음인데도 주가지수 상승이 세계1위라는 것은 다음 두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삼전과 하이닉스까지 반등하면 더 큰 폭으로 상승할 여지가 있다. 둘째 코로나로 인해 주도산업이 변화하는 지금이 한국 주식시장의 대전환점이다. 전자의 경우 그동안 순이익 대비 주가가 잘 오르지 않던 금융주도 동반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후자의 경우 앞으로 주가변동성이 커지는 것에 특히 유의해야한다.
* 2020년 상반기 연결 영업이익 순위
1. 삼성전자 14조5936억원
2. SK하이닉스 2조7470억원
3. LG전자 1조5858억원
4. 현대차 1조4541억원
5. 포스코 8730억원
6. 한국가스공사 8623억원
7. 한국전력 8204억원
8. LG화학 7775억원
9. KT 7249억원
10. KT&G 7098억원
(금융 및 지주사 제외)
시총은 크지만 영업이익이 작은 회사
- 카카오는 영업이익 40위권, 삼성SDI는 50위권, 삼바는 60위권에 불과하다.
코스피 592개사 연결 영업이익 = 42조원 (yoy -24%)
그러나 시총 상위 10개 중 8개사는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오히려 증가했다. 이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